메인 메뉴 바로가기카테고리 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여러 사람이 회의실에 모여 의견을 나누고 있습니다.
Governance

주주권리 보호

SK디스커버리는 주주 및 투자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적기에 공개하기 위해 주주총회 및 정보 공시 과정상의 내부 관행을 개선했습니다. 또한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 공개 수단을 다변화하고 내부 정보 전달 체계를 수립하였습니다.

주주총회 개최

SK디스커버리는 상법 제363조, 상법 제542조의4 및 SK디스커버리 정관 제15조에 따라 주주총회 일시, 장소 및 의안 등 주주총회 전반에 관한 사항을 전자공시시스템(DART)과 회사 홈페이지(www.skdiscovery.com)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대한 많은 주주가 경영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개최일 통보 기한을 앞당겼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을 활용하여 주주총회 개최 21일 전에 통지하고 있으며, 가급적 개최 통지 일정을 앞당기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 주주의 참석이 용이하도록 SK디스커버리 및 주요 자회사의 주주총회 일자를 달리하여 분산 개최하고 있습니다.

주주총회 개최일

연도개최 통지 시점주주총회 개최일
2020년3월 12일3월 27일
2021년3월 16일3월 31일
2022년3월 4일3월 29일

회사별 주주총회 개최일

회사2022년 주주총회 개최일
SK디스커버리3월 29일
SK케미칼3월 28일
SK가스3월 24일
SK D&D3월 23일

주주총회 운영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주는 의안 결의 전에 주주총회에 상정된 안건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고 질의 및 설명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SK디스커버리는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주에게 회의 진행을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거나, 질의가 중복되거나 타당성이 없는 경우 외에는 주주의 요구에 성실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임원진 및 담당자가 참석하여 주주의 질문에 답변드릴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결권 행사 과정의 편의를 도모하고 주주총회의 의결 정족수를 확보하기 위해 제51기 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전체 주주를 대상으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제도’를 시행하여 주주의 의결권 행사가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그 밖에도 서면 위임장 제출 시 주주가 대리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습니다.

주주총회 의결방식

항목도입여부
서면투표미도입
전자투표도입
집중투표제미도입
서면위임장 제출을 통한 의결권 행사 보장도입
전자위임장 제도미도입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제도도입

주주총회 진행 후에는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통해 안건 및 찬반 현황(주식수/비율)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주주권 보호

SK디스커버리는 주주총회장에서 일반 주주가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모든 주주에게 1주 1의결권을 보장하며, 합병이나 영업의 양수도 등 기업의 존립 및 주주의 권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은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주주의 권리와 주주권 보호에 관한 사항을 지배구조헌장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주식 관련 정보

구분내용
발행주식 총수20,396,310주
의결권이 있는 주식 총수18,430,364주
주당 의결권주당 1 의결권 보장
차등의결권 주식 유무없음
의결권 제한 주식 유무없음
의결권 제한 관련 규정 유무있음(정관 제18조)
  • 기준일: 2021-12-31

주주권 보호와 관련하여 주주제안권 제도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일정 비율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는 주주총회 6주 전까지 주주총회 목적 사항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주주는 상법에 근거하여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주주제안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제안이 있을 경우 회사는 내부절차에 따라 제안 사항을 검토하여 주주총회에 상정합니다. 이 밖에도 주주의 관심이 환경경영 및 사회책임경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대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주제 및 형태의 안건이 논의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SK디스커버리는 주주에게 제공되는 재무보고 자료에 담긴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대표이사와 재무담당책임자가 감사위원회와 함께 해당 자료를 검토하였음을 입증하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보고서를 작성하여 공시하고 있습니다.

중요 의안 분리 상정

SK디스커버리는 임원 선임 및 정관 변경과 같이 중요한 안건을 상정하는 경우 각 임원 또는 조문마다 의안을 분리 상정하여 안건별로 주주의 의사가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주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의결권 행사에 필요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주주총회 안건과 관련된 주요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원 후보자에 대한 정보는 주주의 합리적인 판단을 돕기 위하여 최대주주와의 관계, 계열회사와의 관계, 세부 경력 및 이사회 추천 이유, 체납처분 사실, 법령상 취업제한 사유나 기타 결격사유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이 되는 이사 선임의 경우에도 다른 이사와 분리하여 선임하고 있으며, 분리 선임되는 감사위원에 재무회계 전문가를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배당정책

SK디스커버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금전과 주식 등을 통한 이익의 배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사안을 정관에 명시하고, 배당정책을 확대해 왔습니다. 배당정책은 SK디스커버리의 정기보고서(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및 홈페이지에 게재되는 IR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기 배당금 지급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 결의 후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공시하고 있으며, 주주총회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1개월 이내에 주주에게 지급하고 있습니다.

배당금 정보

구분종류FY 2019FY 2020FY 2021
주당 배당금(원)보통주7001,0001,500
우선주7501,0501,550
배당주식수(천주)보통주19,02619,02618,430*
우선주1,3571,3571,357
시가배당률(%)보통주2.8%1.5%3.2%
우선주4.5%1.9%4.2%
  • * 2021년 말 기준, 자기주식 595,354주 매입으로 배당주식 수 감소

공시 및 접근성 확대

SK디스커버리는 이해관계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홈페이지에 재무정보, 전자공시시스템상의 공시정보, 주총이나 외부감사인 선임 등에 관한 공고, 회사의 정보 제공을 위한 분기별 IR 자료 등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기적으로 공시되는 사항 이외에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 정보를 모든 주주에게 동등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때 모든 공시정보가 관련 법규에 따라 정확하고 완전하며, 공정하고 시의적절하게 공시될 수 있도록 공시 통제 활동과 운영, 공시 위험의 평가와 관리, 모니터링, 임직원의 불공정거래 금지 등을 포함한 공시정보 관리 규정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시 업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시 책임자를 지정하고, 담당자가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이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ESG 경영 활동을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상세히 공개하고자 ESG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기업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모범규준과의 차이

분류모범규준 권고안이행여부비고
일반사항기업지배구조헌장 도입Yes2021-03-31 제정 / ESG 홈페이지 공시
임직원 윤리 규정 도입Yes2008-10-01 제정 / ESG 홈페이지 공시
이사회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Yes사외이사 이사회 의장 선임
이사회 구성 및 사외이사 비율 공시Yes2021-12-31 기준 사외이사 비율 57% (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4명)
이사회 산하 위원회 설치Yes감사위원회, ESG위원회, 인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운영 중
이사회 및 각종 위원회의 역할과 운영 절차에 관한 규정 도입Yes이사회 및 각 위원회 규정 별도 도입 / ESG 홈페이지 공시
정기적인 이사회 개최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이사회 개최 시 이사에 대한 사전 정보 제공Yes이사회 개최 7일 전 안건 통지
이사회 활동 내역, 출석률 및 주요 안건에 대한 찬반 여부 공시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이사회 산하 위원회 구성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최고경영자 승계시스템 구축 및 내부 규정 마련-해당 활동 없음
이사회 및 위원회 회의록 작성Yes이사회 및 위원회 회의록 작성/보존
사외이사의 독립성 확보 및 공시Yes규정 및 가이드라인 통한 독립성 확보 / ESG 홈페이지 공시
이사회 전문성 및 다양성 확보Yes규정 및 가이드라인 통한 독립성 확보 / ESG 홈페이지 공시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평가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회사의 비용으로 이사의 손해배상 책임보험 가입Yes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
감사기구감사위원회 구성(전원 사외이사)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감사위원회 전문성 제고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포함 여부Yes감사위원회 위원에 회계/재무 전문가 포함
감사위원회 분기 1회 이상 개최Yes사업보고서 및 ESG 홈페이지 공시
내부감사기구에 대한 연 1회 이상 교육 제공Yes내부회계 관련 교육 연2회 실시
외부 자문 활용에 대한 지원YesESG 홈페이지 공시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유지YesESG 홈페이지 공시
주주총회집중투표제 채택 여부-해당 활동 없음
주주총회 4주 전 소집공고 실시-주주총회 3주 전 소집공고 실시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Yes분산 개최 시행 중 / ESG 홈페이지 참조
공시사업보고서 등에 대한 정확성 인증Yes대표이사 및 담당 임원 인증
감사보고서 및 중요 수시공시 사항의 한글 및 영문 공시Yes22년부터 발생한 수시공시 사항에 대해 영문 공시 진행 중
모범규준과의 차이를 설명YesESG 홈페이지 공시

조직 규모

회사의 매출액, 부채와 자본으로 세분화한 총 자본금 등의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요약 연결 재무제표(단위: 백만 원)

항목FY 2019FY 2020FY 2021
유동자산2,014,9332,456,5972,801,641
- 당좌자산1,587,0322,068,0372,267,957
- 재고자산427,901388,560533,684
비유동자산2,985,1743,165,0374,080,232
-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1,123,5961,313,9582,041,580
- 유형자산1,026,5781,038,7791,163,759
- 무형자산113,871115,282149,942
- 기타비유동자산721,129697,018724,951
자산총계5,000,1075,621,6346,881,873
유동부채1,684,7411,454,4701,977,475
비유동부채992,1511,550,8031,835,090
부채총계2,676,8923,005,2733,812,565
지배기업소유주지분1,682,6641,946,9872,413,291
- 자본금111,677111,677111,677
- 연결자본잉여금602,116619,660690,582
- 연결자본조정(1,109,540)(1,108,205)(1,188,448)
- 연결기타포괄손익누계액(291)(2,754)287,061
- 연결이익잉여금2,078,7022,326,6092,512,419
비지배지분640,551669,374656,017
자본총계2,323,2152,616,3613,069,308
부채와자본총계5,000,1075,621,6346,881,873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7810

요약 연결 손익계산서(단위: 백만 원)

FY 2019FY 2020FY 2021
매출액5,021,0684,519,4646,614,328
영업이익173,948172,96774,366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167,385516,153364,742
계속영업당기순이익195,505355,450272,295
중단영업당기순이익54,691--
연결당기순이익250,197355,450272,295
연결당기순이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180,383267,001212,899
비지배지분69,81488,44959,396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순이익
보통주주당순이익(단위: 원)8,84613,09610,478
우선주주당순이익(단위: 원)8,89613,14610,569
계속영업보통주주당순이익(단위: 원)6,16413,09610,478
계속영업우선주주당순이익(단위: 원)6,19913,14610,569
보통주희석주당순이익(단위: 원)8,84613,09610,475
우선주희석주당순이익(단위: 원)8,89613,14610,567